카테고리 없음

RIT[Receiver Incremental Turning]

단양의 화통 2015. 2. 14. 09:30

 

 

RIT

[Receiver Incremental

Turning]

 

     SSB용 트랜시버에 내장된 국부 발진기는 거의 다 송신부와 수신부가 공유하고 있으므로
 송신과 수신 주파수는 항상 일치한다.
    송,수신 주파수가 일치하기 때문에  교신 중에 상대국의 송신 주파수가 자신의 수신 주파수와 
 일치하지 않을 때나 상대국의 송신 주파수가 불안정하여 변할 경우에 수신음은 찌그러진다던지
 하여 극단적으로는 수신할 수가 없게 된다.
    자국에서 교신중에 상대국 송신 주파수에 대해 수신 주파수를 다시 맞추면 자국의 송신 주파수도
 자동적으로 변화하므로 상대국에서도 수신시 똑같은 조작이 반복되어 교신 중에 주파수가 이동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트랜시버의 수신 주파수를 송신 주파수에 관계없이 + - 5KHz 정도 변화시킬수있는
 리트 [RIT]의 회로가 내장되어 있다.
    상대국의 송신 주파수가 자국 트랜시버의 송신 주파수와 틀릴 때 파넬 전면에 있는 RIT 손잡이를 
 좌우로 돌려 수신음의 명료도가 가장 좋은 곳에 맞춘다.
    RIT의 손잡이의 눈금을 "0" 또는 'OFF' 로했을 때는 RIT 회로가 동작하지 않으므로 수신과 송신
 주파수가 일치하게 된다.
    RIT 손잡이를 왼쪽으로 돌리면 수신 주파수가 송신 주파수보다 낮아지며 오른쪽으로 돌리면 
 수신 주파수가 송신 주파수보다 높아지게 된다.
    RIT 손잡이를 "0"또는 "OFF" 이외에 놓고 CQ 신호를 내면 송신 주파수가 수신 주파수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CQ를 낸다던지 CQ를 내는 무선국에 응답할 때는 필히 "0" 또는 "OFF" 위치에 놓아야 한다.
    만약 이것을 잊어 버린다면 상대국에서 응답하여도 수신할 수 없게 된다던지 엉뚱한 주파수에서
 상대국을 부르게 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2015년 02월 14일 
Hi-Top자료실에서 복사하여
봄날 같아져 오는 오늘 날씨에
신나서!

경기. 포천의 송우리에서
단양의 화통 / 6K2FYL. 신영섭 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