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혈액이란?

단양의 화통 2012. 12. 26. 14:44

 

혈액이란?

컨텐츠 네비게이션

 

혈액은?

뻐속의 골수에서 생성. 우리 몸 속에 4~6리터의 혈액보유.

정맥순환

  • 심장박동으로 동맥. 모세혈관, 정맥순환.
  • 산소와 영양분 노폐물을 운반.
  • 백혈구와 항체 등을 통해 세균 감염 등의 질병으로부터 보호.
  • 혈구와 혈장 성분으로 구성.
  • 혈구와 골수의 조혈모 세포로부터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분화되어 생성.
  • 혈장은 대부분 수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백 성분, 화학물질 및 전해질 등이 함유되어 있음.

혈액의 구성

적혈구

적혈구사진

  • 직경 약 7마이크로미터, 400~500만개/혈액 1마이크로리터.
  • 산소운반.
  • 적혈구 한 개당 3백만개 정도의 헤모글로빈 가짐.
  • 산소와 결합된 헤모글로빈은 옥시헤모글로빈(Oxyhemoglobin)이라고 하며 밝은 붉은 색을 띰.
  • 이산화탄소와 결합하면 카복시헤모글로빈(Caboxyhemoglobin)로 변하고 검붉은 색 나타냄.

폐에서 산소받고 이산화탄소 배출 기전.

조직에서 산소 공급하고 이산화탄소 받는 기전.

 

백혈구(White Blood Cells)

  • 혈액 1마이크로리터에 4,000~10,000개의 백혈구 있음
  • 외부에서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이 침입하면 백혈구 수를 증가시키고 침입자를 제거.
  • 백혈구 중 2/3정도는 세포 안에 아주 작은 알갱이(granule)들을 가지고 있는 과립구(granulocyte)
  • 과립구는 호중구(neutrophil), 호염구(basophil,) 호산구(eosinophil)등이 있음.
  • 단구(monocyte) 또는 대식세포(macrophage)는 침입자를 세포 안에서 처리한 후 우리 몸의 면역시스템에 그 정보를 제공하여 이후 침입 시 신속한 대처 가능.
  • 림프구(lymphocyte)는 특정항원을 만나 활성화되고 증식되어 그 항원을 가진 세균 또는 세포들을 제거.
백혈구 종류 그림[복사하여 붙이지 못함; 신영섭]

혈소판(platelets)

  • 혈액 1마이크로리터에 15~40만개.
  • 상처가 났을 때 손상된 혈관벽에 붙고(adhesion) 또 혈소판끼리 서로 엉겨 붙으며(aggregation) 혈액응고를 일으켜 피를 멎게 함.
혈액응고.
  • 상처 부위에 혈소판과 혈액 응고인자들이 서로 도우며 혈액응고를 일으켜 피를 멎게 함.
  • 혈장 속에 함유되어 있는 혈액응고인자는 제1혈액응고인자부터 제13혈액응고인자까지 많은 종류의 인자들이 순차적으로 작용하여 혈액응고 일으킴.
혈액응고

 

혈장(plasma)

혈장

 

  • 혈액의 반 이상 차지.
  • 생명 유지에 꼭 필요한 전해질, 영양분, 비타민, 호르몬, 효소 그리고 항체 및 혈액응고 인자 등 중요한 단백 성분이 들어있음.

혈액질환

빈혈

적혈구가 모자라는 상태
  • 적혈구가 부족하면 산소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쉽게 숨이차고 심장이 빨리 뛰게 되고 기운이 없어짐.
  • 철 결핍성 빈혈 : 헤모글로빈 생성시 필수적인 철이 부족하여 생김, 철분 제제 공급하여 치료.
  • 백혈병 재생 불량성 빈혈 : 골수에 병이 생겨 발생, 항암제 치료 또는 골수이식
  • 자가 면역성 용혈성 빈혈 : 자가항체에 의해 일찍 제거되어 발생, 자가 항체가 감소되도록 치료.

혈우병(Hemophilla)

  • 혈우병A는 제8응고인자가, 그리고 혈우병B 는 제9혈액응고인자가 유전적으로 결핍되어 생김.
  • 혈우병 유발 유전자는 X염색체에 존재하며 열성으로 유전.

혈소판 감소증(Thrombochtopenia)

  • 골수에서 혈소판을 못 만들거나 만들어진 혈소판이 어떤 원인에 의해 소모 또는 파괴 될 때 발생.
  • 자가면역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등 : 혈소판이 항체에 의해 제거 되었을 때.
  • 파종성 혈관내 응고증 등 : 혈액응고에 의해 소모되었을 때.
  • 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암전이 등: 골수에 병이 생겨 혈소판을 제대로 만들지 못할 때.

백혈병(Leukemia)

  • 골수에 백혈병 세포가 자랄 때 정상기능을 하는 백혈구는 물론 적혈구와 혈소판도 제대로 만들 수 없는 상태가 됨.
  • 미성숙 백혈구들이 지나치게 증가하고 박테리아에 대한 방어능력이 없어져 세균 감염 또는 출혈로 사망할 수 있음.
  • 백혈병 환자들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특히 혈소판 수혈에 의지하여 투병으로 유전.

신생아 용혈성 질환

Rh 신생아 용혈성 질환
  • Rh(D)음성 임산부가 Rh(D) 양성 아기를 가졌을 때
  • 출산 또는 유산 등의 과정을 통하여 아기의 적혈구가 엄마의 혈액 내로 유입되면 엄마 몸의 면역 반응에 의해 엄마는 Rh항체(anti-D) 를 가짐. anti-D를 가진 여성이 Rh(D) 아기를 다시 임신하면 아기의 Rh 양성 적혈구를 파괴하여 아기에게 심한 황달, 빈혈 등이 나타남.
ABO 신생아 용혈성 질환
  • 혈액형이 O형인 임산부가 A형 또는 B형인 아기를 가졌을 때 엄마가 가지고 있던 IgG type의 anti-A,B가 태반을 건너가 아기의 적혈구를 용혈시킴.


  •  

     

    2012년 12월 26일

     

    대한 적십자사 ABO Friend's에 가입한 후

    자료 복사하여

    의정부 집에서

    단양의 화통 / 6K2FYL. 신영섭 올림.